본문 바로가기
문화생활 영화,도서,그림

1.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 빈곤과 청소년, 10년의 기록 / 강지나 지음

by moneylove. 2024. 5. 21.
728x90
반응형

1.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 빈곤과 청소년, 10년의 기록 / 강지나 지음

 

 

어려운환경 자기의견 뚜렷 어머니도 가난한 가족의 장녀라는 환경에서 만들어진 희생자
자신을 돌봐줄 여력이 없었다는것을 인정
자신의 삶이 우울하다 생각했어도 그 원인을 어머니나 가족에게 돌리지 않음
스스로 자신의 삶을 해석하고 이해해보려 애씀
내재적 장점일수도 있고, 아무곳도 기댈 데 없어 혼자 터득한 생존 전략일 수도 있다
혼자서 잘 하는 아이
그저 견디는 게 삶의 힘
가난한 가정의 빈약한 사회적 자본은 위기가 닥쳐왔을 때 자녀의 성장기에 고스란히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조건과 환경이 장애가 될 수 있다.
아무리 노력해도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어려운 상태가 가난한 청년이 처한 현실
가족이란 의지할 곳 이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착취를 당하는 곳이기도 했다. 하지만 원망하거나 탓하지 않고 가족을 최우선으로 했다.
가족이 자신에게 꼭 도움이 되기만 했던것은 아닌데도 왜 가족을 위해 여러가지 결정을 할까?
삐뚤어지지 않고 열심히 산것을 잘했다고 생각한다.
내 가정사를 다 솔직하게 오픈한다고 세상 사람들이 다 이해하는건 아니고, 다 이야기 하는게 좋지 않을 수가 있겠구나, 처음에는 상처를 많이 받음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첫직장에서는 꼼꼼, 계획적으로 일했으나 결과가 좋지 않을때도 있었고
성격이 그렇게 변해버렸다. 차분한줄 아는데 사실은 왈가닥이다.
제 모습을 숨기게 되고 소극적으로 변하고 아무 말도 할 수가 없는것.
성장과정 내내 밀착되어 있던 어머니와 분리해서 나오는일
삶 모두를 엄마 기준으로 생각, 당연했던일이 이제는 선택이 되었다, 여기서 내가 끊어내야겠구나
엄마가 아닌 한 사람으로 보고 인생을 쭉 봤을때 이럴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
다양한 경험과 시도 좌절 고통 성취등의 단계를 거쳐 내면의 힘이 된다.
가난은 그냥 불편한 정도는 넘어 사회적 개체로의 나의 위신과 존재가 부정당하는 일이다.
반복되면 자아는 자신감을 상실하고 사회적 존재 가치가 없는것 처럼 느끼고 자신의 욕구에 대해 둔감해 진다.
말을 안한지 오래되니 말수가 적어진다.
아빠한테 부당하게 맞으면 엄마한테 말했고 그럼 엄마랑 아빠가 싸웠다 그래서 나중엔 엄마한테도 말을 안했다
자신을 표현하지 않고 말 없는 아이가 되도록 만들었다.
가난한 가정의 청소년 일수록 진로 선택의 중요한 장면에서 부모나 교사로 부터 특별한 조언이나 지도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자아존중감 찾기 조차도 주변의 지지체계가 부실하다면 어렵다.
하지만 사색하는 시간을 가져본 아이는 이후에도 자신만의 길을 걸어갈 줄 안다.
그 시간이 아자 존중감을 길러주는 자양분이 되기 때문이다.
자아정체감 형성에는 다양한 경험과 교육적 자극이 중요한데 가난한 가족의 청소년들은 이런 부분에서 취약한 환경에 놓여 있다.
주위 환경과 쌂의 가치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 뚜렷했고, 사색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졌다.
끊임없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해 고민했기 때문이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