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생활 영화,도서,그림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 : 절대 흔들리지 않는 공자의 일의 법칙 김은애 지음

by moneylove. 2024. 2. 28.
728x90
반응형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 : 절대 흔들리지 않는 공자의 일의 법칙

김은애 지음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
일 잘하는 사람은 논어에서 배운다

 

 

공자의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사서삼경 
정답이 없다 길이 있을 뿐이다
같은 말도 내가 처한 상황과 생각의 폭에 따라 늘 다른 깨우침이 있었다.
재가사의(두번 검토 했으면 괜찮다)
제자들의 죽음에 대해 공자가 언급한 사람은 안회와 자로가 유일하다고 전해진다
공자는 사십에 사리명백, 사물의 이치나 일의 도리가 명백하여 주변 상황에 쉽게 미혹되지 않았다.
40대는 안정적일 것 같지만 사실 서어인질풍노도라고 할 정도로 삶이 고된 시기이다. 삶의 희로애락이 격렬하게 우리의 삶을 둘러싸고 주변의 많은 유혹에 흔들리기 쉬운 시기이다.
회복탄력성, 늘 생각하고 성찰하고 중심을 잃지 않기 위해 주변을 돌아보며 나아가야 한다.
인생 고비으 ㅣ의미는 결코 어느 한순간만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그저 지나칠 수 있는 나이가 없다는 것
끊임없이 나를 돌아보고 평생의 과업으로 덕을 쌓아가는 과정.
자왈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그것은 서이다.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하지 않는 것이다.  
현자피세 기차피지 기차피색 기차피언
재사가의 두 번 생각하면 충분하다
생각이 깊을 수록 사사로운 감정이 개입되어 고민하는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되돌리기도 하고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냥 시작해! 시작하면서 생각해
눌언민행
임금을 속이지 마라, 임금의 안색이 좋지 않아도 개의치 말고 간하라
듣기좋은 말만 하는 것도 속이는 것과 같다
물기야 이범지
퇴사인터뷰
공자가 멀리한 네 가지 : 무의, 무필, 무고, 무아 / 사사로운마음의,반드시필,완고할고,외고집아, 집착 고집 이기심
상론10편, 하론10편 대부분상론,
1~9 공자가 제자들에게 한말과 가르침을 제자들이 엮은 것이고,
마지막 10편(향당)이 공자의 이랑생활 모습을 제자들이 관찰하여 담은 것
리더가 있는 이유는 노하우로 책임을 짊어지고 위기를 감지하면서 실제 일을 진행하는 직원의 성과를 내는데 조력하는 조력자의 역할, 나몰라라하면 부하직원은 배운저거이 없다 되받아친다. 서로 파국
세심하게 챙기고 관찰하고 방향을 알려주고 가이드를 해야한다.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노자 도덕경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ㄹ은 알지 못한다
더닝 크루거 효과
메타인지가 높으면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잘 파악하여 시간과 노력을 적절하게 통제관리하여 효율성이 높아진다.
군자 육구사 시사명 청사총 색사온 모사공 연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
호모 사피엔스=생각하는사람
불왈여지하 여지하자 오말여지하야이의
경솔하게 함부로 일을 시작하고 독단적으로 진행하여 나중에 돌이킬수 없는 결과, 그 피해는 
생각을 연습한 사람은 절대 그 답을 피하지 않는다.
정답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 생각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느느 사람을 원하는 것이다.
글을 잘쓰려면 다양한 글을 읽고 생각을 다져야한다. 책읽기를 통해 지식이 탄탄하게 쌓였는지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글쓰기로 평가한것
공자의 손자 자사, 자사는 맹자에게 공자의 말과 철학을 전수, 유학으로 성립되도록
지인용이 이기는 습관이다
지자불혹 인자불우 용자불구 지혜로운자는 의심하지 않고 어진자는 근심하지 않고 용기있는 자는 두려워하지 않는다
지금의 눈으로 그때를 평가하지 마라
성사불설 수사불간 기왕불구
이미 이루어진 일은 논하지 말고 끝난일은 따지지 말고 지나간 일에 허물을 삼지 말아라
자하왈 소인지과야 필문 : 자하가 말하길 소인은 잘못이 있을 경우 반드시 꾸며댄다
자장 편은 공자 제자들의 어록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라
논어는 총 20편이며, 그아래 498개의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사람으르 미워하고 탓하기 전에 스스로 먼저 깨우치고 반성하면 도리에(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마땅히 행해야 할 바른길)어긋나지 않는다.
시어군자 유삼건 언미급지이언 위지조 언급지이불언 위지은 미견안색이언 위지고
저지르기 쉬운 세가지 잘못 묻기 전에 말하는 조급함, 말했는데 대꾸하지 않는 숨김의 잘못, 안색을 살피지 않고 말하는 잘못
삼인행 필요아사언 택기선자이종지 기불선자이개지
세사람중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선한사람의 좋은점을 따르고 선하지 못한사람은 나의 나쁜점을 고치는 교훈으로 삼는다
세상의 모든 이가 나를 일깨워 주는 스승이다
군자 화이부동 소인 동이불화 : 군자는 조화를 이루지만 같아지지는 않고, 소이니은 동화되지만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자유왈 붕우삭 사소의 : 친구와의 관계에서 자주 충고를 하면 사이가 멀어진다.
공자는 온화하면서도 엄격했다 : 상대를 온화하게 대하려면 마음의 여유와 상대를 배려하는 자세가 기본 바탕에 있어야 한다.

반응형

댓글